CAUSAL CATEOGRY
BM.MoP.3 – Refugee camps put pressure on resources
BM.MoP.3 – Refugee camps put pressure on resources
YEAR
1994–1997
1994–1997
WAR
Rwandan Genocide & aftermath
Rwandan Genocide & aftermath
LOCATION
DRC (Virunga Mountains)
DRC (Virunga Mountains)
SPECIES AFFECTED
Mountain Gorilla (Gorilla beringei beringei)
Mountain Gorilla (Gorilla beringei beringei)
IMPACT TYPE
Indirect
Indirect
DOCUMENT TYPE
NGO Report
NGO Report
SOURCE LINK
https://wwf.panda.org/wwf_news/?10763/Surviving-through-war
https://wwf.panda.org/wwf_news/?10763/Surviving-through-war
CASE NAME
Refugee Impact on Gorilla Habitat Post-Genocide
Refugee Impact on Gorilla Habitat Post-Genocide
Some 750,000 refugees flooded into DRC following the 1994 genocide in Rwanda, thousands travelling through the Virunga Mountains. The refugee camps set up around the border town of Goma lasted for two-and-a-half years and were the biggest the world has ever seen. The massive influx of refugees together with conflict over the country's vast mineral wealth helped touch off ethnic strife and civil war in DRC, which lasted from 1997 to 2002. Rebels from the different warring factions sought refuge in the forests of Virunga National Park.
Some 750,000 refugees flooded into DRC following the 1994 genocide in Rwanda, thousands travelling through the Virunga Mountains. The refugee camps set up around the border town of Goma lasted for two-and-a-half years and were the biggest the world has ever seen. The massive influx of refugees together with conflict over the country's vast mineral wealth helped touch off ethnic strife and civil war in DRC, which lasted from 1997 to 2002. Rebels from the different warring factions sought refuge in the forests of Virunga National Park.
CAUSAL CATEOGRY
BM.MoP.3 – 피난민 정착지로 인한 환경 압력
BM.MoP.3 – 피난민 정착지로 인한 환경 압력
YEAR
1994–1997
1994–1997
WAR
르완다 집단학살 및 그 여파
르완다 집단학살 및 그 여파
LOCATION
콩고민주공화국 (비룽가 산맥)
콩고민주공화국 (비룽가 산맥)
SPECIES AFFECTED
마운틴고릴라 (Gorilla beringei beringei)
마운틴고릴라 (Gorilla beringei beringei)
IMPACT TYPE
간접적 영향
간접적 영향
DOCUMENT TYPE
NGO 보고서
NGO 보고서
SOURCE LINK
https://wwf.panda.org/wwf_news/?10763/Surviving-through-war
https://wwf.panda.org/wwf_news/?10763/Surviving-through-war
CASE NAME
집단학살 이후 고릴라 서식지에 미친 난민 영향
집단학살 이후 고릴라 서식지에 미친 난민 영향
1994년 르완다 집단학살 이후 약 75만 명의 난민이 콩고민주공화국(DRC)으로 대거 유입되었으며, 수천 명이 비룽가 산맥을 통과했다. 국경 도시 고마(Goma) 주변에 조성된 난민 캠프는 세계 최대 규모로, 2년 반 동안 존속했다.
난민 유입과 더불어, 광물 자원을 둘러싼 갈등은 DRC 내 민족 분쟁과 1997~2002년까지 이어진 내전의 도화선이 되었다. 분쟁에 가담한 여러 반군 세력들은 비룽가 국립공원의 숲 속으로 은신처를 삼았으며, 이로 인해 고릴라 서식지 또한 장기적인 영향을 받게 되었다.
1994년 르완다 집단학살 이후 약 75만 명의 난민이 콩고민주공화국(DRC)으로 대거 유입되었으며, 수천 명이 비룽가 산맥을 통과했다. 국경 도시 고마(Goma) 주변에 조성된 난민 캠프는 세계 최대 규모로, 2년 반 동안 존속했다.
난민 유입과 더불어, 광물 자원을 둘러싼 갈등은 DRC 내 민족 분쟁과 1997~2002년까지 이어진 내전의 도화선이 되었다. 분쟁에 가담한 여러 반군 세력들은 비룽가 국립공원의 숲 속으로 은신처를 삼았으며, 이로 인해 고릴라 서식지 또한 장기적인 영향을 받게 되었다.